목차진단과 분류치료 아동기나 청소년기의 우울증은 해당 청소년뿐만 아니라 가족 구성원, 특히 부모에게 매우 고통스러운 경험일 수 있습니다. 불행히도 아동기와 청소년기의 우울증은 예후가 좋지 않습니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대다수의 청소년들이 1년 이내에 우울함에서 회복되기는 하지만, 기분 장애 자체에서 벗어나지는 못합니다. 주요 우울증은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질환이며, 우울한 청소년은 비우울 청소년보다 성인이 되었을 때 다시 우울증을 경험할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그러나 다른 유형의 심리적 문제를 겪을 확률이 더 높은 것은 아닙니다. 지속적인 기분 장애(기분부전장애)와 주요 우울증 동시에 존재하는 이중 우울증, 심한 우울 증상, 어머니의 우울증, 행동 문제가 없는 경우 등이 장기적으로 더 나쁜 결과를 예측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