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0 2

교육심리학 - 모델링

목차거울 뉴런과 관찰 학습모델학교에서의 모델링강력한 모델의 조건 우리는 어릴 때부터 자연스럽게 남을 따라 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아기가 혀를 내미는 부모의 행동을 그대로 따라 하거나, 손을 흔드는 모습을 흉내 내는 장면은 너무나 익숙하다. 이런 행동은 단순한 장난처럼 보일 수도 있지만, 뇌과학적으로 매우 정교한 과정이 작동한 결과다. 이 현상의 핵심에는 '거울 뉴런'이라는 특별한 뇌세포가 있다. 이 뉴런은 타인의 행동을 관찰할 때와 자신이 그 행동을 할 때 모두 활성화되는 특성을 지닌다. 덕분에 인간은 주변 환경에서 다양한 행동을 보고 빠르게 학습할 수 있다. 말하자면, 관찰을 통해 행동을 배우는 능력이 우리 뇌에 기본 설정으로 내장되어 있는 셈이다. 모델사람들은 다양한 형태의 모델을 통해 새로..

아동심리학 2025.07.10

교육심리학 - 사회인지 이론

목차관찰을 통한 학습행동의 동기환경과의 영향강화와 처벌기대 이전 글에서는 행동주의 이론들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하지만 사람은 단순한 자극-반응 기계가 아니다. 인간은 타인의 행동을 지켜보고, 그 결과를 해석하며,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바탕으로 미래를 예측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인간 학습을 설명하는 이론이 바로 사회인지이론이다. 심리학자 알버트 반두라에 의해 정립된 이 이론은 단순한 행동의 반복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인간 학습의 복잡한 과정을 밝히는 데 초점을 맞춘다. 관찰을 통한 학습사회인지이론의 첫 번째 핵심 가정은 인간은 타인의 행동을 관찰함으로써 학습할 수 있다는 점이다. 전통적인 행동주의에서는 시행착오를 통해 바람직한 행동이 남고, 그렇지 않은 행동은 사라진다고 보았다. 하지만 사회인지..

아동심리학 2025.07.10